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안익태

안익태선생의 생애

1906
~
1926
1906
12월 05일 평양출생 (평양시 계리 35번지)
1914
평양 종로보통학교 입학
1918
평양 숭실중학교 입학, 1938년 3월 일제의 신사참배 거부로 자진 폐교될 때까지 숭실대학에 악적(樂籍)을 두고 바이올린 독주회(1922년/1923년)와 첼로 독주회(1928년/1930년) 개최
1919
3.1운동 관련 수감자 구출운동에 가담 후 일제에 의해 숭실중학교 제적
1922
제3회 전조선야구대회에 숭실중학교 4번타자 겸 2루수로 출전해 준우승 견인
1922
제3회 전조선야구대회에 숭실중학교 4번타자 겸 2루수로 출전해 준우승 견인
1924
03월 도쿄 세이소쿠 중학교 첼로 특기자 입학
1926
04월 도쿄 구니타치 음악대학 입학(첼로 전공)
1930
~
1939
1930
04월 도쿄 구니타치 음악대학 졸업, 일본유학 당시와 이후에도 창씨개명 거부
09월 0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도착, 샌프란시스코 한인연합감리교회 교인들이 스코틀랜드 민요인 올드 랭 사인 선율로 애국가를 부르는 것을 보고 새로운 애국가 작곡 결심
1933
02월 필라델피아 템플대학교 음악대학원 장학생 입학, 템플대학교 신문학과에 재학 중인 한흑구(1909-1979)가 주선
1934~35
필라델피아 심포니클럽과 앱나키캠프 관현악단, 체스트넛 힐 장로교회 성가대 지휘
1935
미국 엘칸-보걸사에서 <한국음악의 첫 선언> 모음곡 출판
02월 미국에서 애국가 작곡
12월 28일 시카고 한인교회에서 애국가 첫 발표
1936
01월 샌프란시스코 대한인국민회에서 애국가 악보 출판
03월 04일 조선총독부에 의해 조선문출판물 압수목록에 오르며 안익태의 애국가 연주금지
06월 첫 유럽여행 중 베를린에서 독일의 대작곡가 파울 힌데미트(1895-1963) 면담, <강천성악>을 작곡 중이라 언급
08월 빈에서 오스트리아의 대지휘자 펠릭스 바인가르트너(1863-1942)와 만남, 그의 추천으로 9월 11일 부다페스트 교향악단 지휘
10월 뉴욕으로 돌아옴
1937
06월 필라델피아 템플대학교 음악대학원 졸업(음악학 석사)
11월 뉴욕에서 영국으로 출국
1938
02월 20일 아일랜드 더블린 방송교향악단을 지휘하며 <한국환상곡> 세계초연, <아이리쉬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독립 염원 피력
04월 헝가리 부다페스트 도착
06월 27일 부다페스트 왕립오페라극장 관현악단을 상대로 <한국환상곡> 수정판 지휘
10월 16일 부다페스트 리스트 음악원 장학생 입학, 헝가리 민족음악의 대부 졸탄 코다이(1882-1967)에게 작곡 사사
04~12월 리스트 음악원을 방문한 독일 후기낭만파 최후의 거장 리하르트 슈트라우스(1864-1949)와 첫 만남
1939
09월 01일 제2차세계대전 발발, 유럽정세 급변
1940
~
1949
1940
04월 30일 로마에서 로마 방송교향악단을 지휘하며 <한국환상곡> 연주, <강천성악>을 당시 국제정세상 <야상곡과 에텐라쿠>라는 제목으로 세계초연
09월 27일 베를린에서 독일, 이탈리아, 일본의 군사동맹조약인 3국동맹 체결, 이후 일본의 영향력이 노골화된 유럽에서 ‘한국’이란 제목의 작품 공연금지, 일제의 강요로 일본편향 연주회가 이어짐
12월 20일 상하이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안익태 작곡 애국가를 일제치하 한국의 공식 국가로 승인
1941
10월 부다페스트 리스트 음악원 졸업
연말 부다페스트에서 베를린으로 이주
1942
04월 12일 빈 무지크페라인잘에서 독일-일본협회 빈 지부가 주최한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회 지휘, 리스트의 마지막 피아노 제자인 명피아니스트 에밀 폰 자우어(1862-1942) 협연의 리스트의 피아노 협주곡 2번과 스승 슈트라우스가 일본정부의 위촉으로 1940년 작곡한 <일본 기원 2600년을 기념하는 축전곡> 지휘, 공연 후 객석에 있던 슈트라우스가 안익태에게 친필 헌정서 증정
1943
08월 18일 구베를린 필하모니홀에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공식연주회를 동양인 최초로 지휘, <한여름밤의 음악회>라는 데뷔무대에서 바그너의 오페라 <리엔치> 서곡과 자신의 <에텐라쿠>,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0번(피아노 협연 다그마르 벨라),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를 지휘, 프로그램에 일본의 속국 조선 평양 출신이라고 명기하며 민족정체성을 피력
1944
04월 14,
18, 21일
파리 살 플레이엘에서 파리 음악원 오케스트라를 이끌며 <베토벤 페스티벌> 지휘,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1880-1953)와 피아니스트 알프레드 코르토(1877-1962) 등 당대의 명연주자들이 협연
1940~44
제2차세계대전 중의 유럽에서 유럽 저명악단 다수 지휘, 3국동맹과 전시체제하 일제의 강압으로 <한국환상곡>의 다른 이름인 <교쿠토=극동>과 <토아=동아>, <만주환상곡> 및 <에텐라쿠> 등장, 일제의 강압 속에서도 <교쿠토> 연주회 프로그램에 한국의 선율을 주제로 작곡했다는 해설을 명기
1944
06월 12일 전쟁을 피해 프랑스에서 스페인으로 출국
12월 바르셀로나에서 1944년판 <한국환상곡> 완성
1946
03월 15,
22일
바르셀로나 리세우 대극장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1944년판 <한국환상곡> 초연
07월 05일 바르셀로나 수도원에서 롤리타 탈라베라와 결혼
11월 마요르카 교향악단 창단 후 초대 상임지휘자 취임
1947
01월 14일 마요르카 교향악단 창단연주회
1948
09월 09일 대한민국 제헌국회 제61차 본회의에서 안익태 작곡 애국가를 통일의 그날까지 대한민국 국가에 준하는 독점적 공식국가로 인정한다고 의결
10월 31일 교향시 <마요르카> 초연
1949
09월 08일 85세를 일기로 스승 슈트라우스 타계, 1938년 부다페스트에서의 첫 만남 이후 12년 간 교분, 1942년 사제의 연을 맺은 이후 슈트라우스의 유일한 동양인 제자로 8년 간 작곡/지휘 사사
1950
~
1959
1950
03월 07일 최초의 한국여권 발급
1952
02월 25일 교향시 < 포르멘토르의 소나무> 초연
07월 20일 멕시코 국립대학교 음악대학 교향악단 지휘, <한국환상곡>과 <강천성악> 지휘, 중남미 데뷔
1953
12월 31일 신시내티 교향악단 송년음악회에서 <한국환상곡>을 지휘하며 미국 데뷔
1955
03월 19일 이승만 대통령 80세 탄신축하공연을 위해 25년 만에 금의환향, 문화포장 받음
1957(11월 12일)~1958(03월 28일)
미국 순회공연, 미국 내 다양한 악단들을 지휘하며 <한국환상곡> 연주
1959
05월 30일 마요르카 교향악단 상임지휘자 고별무대, 바르셀로나 리세우 대극장 오케스트라 등 스페인의 유력악단과도 고별연주회, 이후 전세계 주요악단의 객원지휘자로 활동반경 확대
05월 30일 영국 최고악단인 런던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한국환상곡>과 베토벤, 드보르자크 작품 연주, 영국 데뷔
1959(09월)~1958(11월)
중남미 순회공연, <한국환상곡>과 <강천성악> 등을 지휘하며 대한민국의 문화사절로 기여, 이후 연쇄적인 중남미 국가들과의 수교
1960
~
1977
1960
02월 27일~
03월 05일
간사이 교향악단을 지휘하며 오사카, 교토, 고베 순회공연, <한국환상곡>의 대단원인 애국가를 일본합창단이 한국어로 합창, 일본 데뷔
03월 09일 이승만 대통령 85세 탄신축하공연 지휘를 위해 두 번째 귀국
06월 15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강천성악> 및 베토벤, 차이콥스키 지휘
1961
02월 02일 파리 음악원 오케스트라를 이끌며 <한국환상곡>과 스승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죽음과 정화> 등 지휘
02월 26일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등 연주
1962
05월 01~16일 제1회 서울국제음악제 주관
1963
05월 01~15일 제2회 서울국제음악제 주관
1964
05월 19~26일 제3회 서울국제음악제 주관
07월 31일 일본 음악지우사(音樂之友社)가 슈트라우스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집필 의뢰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전기> 출간
10월 26~27일 도쿄올림픽 폐막연주회 지휘, 신도쿄 교향악단을 이끌며 베토벤의 교향곡 9번 <합창> 등 지휘
1965
04월 10일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지휘, 일본인들의 반대에도 자신이 작곡한 교향시 <논개> 지휘를 강행, NHK방송 생중계
07일 04일 영국 최고악단인 런던의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와 최후의 연주회, <논개>와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4번(해럴드 콘 협연), 차이콥스키 교향곡 6번 <비창> 지휘
09일 16일 바르셀로나 병원에서 향년 59세를 일기로 별세
10월 15일 문화훈장 대통령장 추서
1977
07월 08일 유해봉환,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 제2유공자 묘역에 안장
  • 숭실대학교
  • 외교부
  • 문화체육관광부
  • 순흥안씨대종회
  • 숭실대학교
  • 외교부
  • 문화체육관광부
  • 순흥안씨대종회